2015년 6월 29일 월요일
스크류 및 고정부품, 기술자료 - 헤펠레2015
스크류의 종류와 스크류 머리모양에 따른 분류.
헤펠레 2015년 카다로그에 있는 자료 자체가 워낙 정리가 잘 되어있다.
한페이지에 정리되어있어 재 편집 보다는 그냥 그대로 보는편이 좋을것 같아 그대로 공개한다.
다만 스크류의 종류와 종류별 특징표의 위치가 안맞는것 같아 위치조정만 살짝 하였음을 밝혀둔다.
물론 저작권은 헤펠레에 있으니 삭제요청이 있을시엔 이미지가 사라질 수도 있다.
필립스 타입과 포지타입이 가장 많이 쓰인다고 본다.
다만 실제 목공작업때는 티탭스크류가 정말 편했던 기억이 있다. 체결력도 그렇고 티탭 비트를 한번 구매해서 잃어버리지 않는 한 4년 정도는 쓸수 있었던 기억도 있다.
개인의 취향이나 작업상 차이는 있을수 있지만, 개인적으로 비트는 10cm 이상의 긴것을 선호한다.
덧붙여 약간의 이득은 작업해준 결과물은 티탭 비트를 가지고 있는 사람만 손을 댈 수 있기 때문에 출고된 물건을 수정하러 다시 찾아오는 손님도 간혹 있었다. 귀찮은 일이 될 수도 있지만 그렇게 인연이 더해지면 좋은일이 더 많아진다고 생각한다.
참고로 한마디 덧붙이면 전체 나사산으로도 부분 나사산의 효과를 볼 수는 있다.
가끔 실패할 수도 있는 방법이지만... 전체 나사산으로 체결할때 위 그림과 같이 부재 사이가 뜨는 경우가 종종 있다. 아니 꽤 있다. 그럴때는 나사를 살짝 풀었다가 다시 힘껏 조여주면 틈이 없이 작업할 수 있다.
단지 경험에 의한 이야기다.
2015년 6월 26일 금요일
가구바퀴 캐스터의 종류
캐스터, 다시말해 가구바퀴는 위와 같이 구분되며
위 그림 이외에 매립형 바퀴나 볼캐스터, U자형 프로파일고정형도 있고
하우징을 스틸과 같이 튼튼한 재질로 만든 고하중용 바퀴도 있다.
거실바닥이 소프트 하면 딱딱한 경질 바퀴를,
바닥이 딱딱하면 연질바퀴를 사용하면 이동감이 좋다.
거기에 롤러가 크면 클수록 이동시 부드럽다.
또한 회전을 부드럽게하기 위해 볼베어링을 넣은 제품도 있다.
*위 사진은 헤펠레 2015년 공식 카다로그에서 발췌 하였습니다.
2015년 6월 24일 수요일
바리안타 32 시스템
1945년 2차 세계대전 이후 초토화된 유럽 전역을 복구하는 데에는 엄청난 규모의 건설과 가구 제조가 시급했습니다.
이런 배경 속에서 당시 기술로서는 다축보링기 축간의 최소거리가 32mm 였던바, 이것이 표준화 되어 RTA (Ready To Assembly: 넉다운 조립가구) 가구 대량생산 기술은 비약적으로 발전하는 계기를 맞게 됩니다. 여기에서 대부분의 유럽 가구와 하드웨어는 이 기준을 적용받게 됩니다.
이와 비슷한 시기에 PB, MDF 등의 판넬이 개발 되면서 바리안타 32 시스템을 기본으로 한 RTA 방식은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가장 보편적인 양산가구 시스템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바리안타 32 시스템의 특징
ㅇ 32mm 간격의 사전 보링
ㅇ 37mm 의 판넬 엣지면에서 보링홀 중심까지의 거리
ㅇ 3mm 또는 5mm 의 보링홀 직경
ㅇ 32mm 간격의 사전보링은 하드웨어의 정확하고 신속한 설치를 보장
RTA 방식은 생산성 향상 및 물류 비용을 최소 1/4 이하로 절감해주는 획기적인 시스템입니다.
32mm 간격의 보링으로 가구의 몸통, 도어, 선반, 서랍등의 결합이 간편하게 이루어집니다.
(오늘날에는 20mm, 28mm 등의 연속 보링도 간혹 사용됩니다)
2015년 6월 23일 화요일
서랍재 및 슬라이딩 인출식 런너 (서랍레일 개요)
런너타입
런너타입은 런너의 디자인과 설치 방법에 따라 결정이 됩니다.
1. 가이드 레일 : 플라스틱 가이드를 따라 서랍이 작동됩니다.
2. 철레일 : 폴리아마이드 코팅이 되어있는 롤러가 측면에 설치되어있는 레일을 따라 작동됩니다.
3. 볼레일 : 측면에 고정되며, 스틸 또는 플라스틱 볼 베어링이 케이지를 따라 작동됩니다.
4. 언더레일 : 서랍재 하부에 설치하여 레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서랍을 깔끔하게 마무리 할 수 있습니다.
최대 적재 하중
서랍재의 최대 적재 하중은 DIN 68858 국제 규격 기준으로 최대 5만회 개폐시험을 통과한 서랍재 1조의 최대 하중을 의미합니다.
특히 측면 고정형 볼레일의 경우 하부고정형으로 사용할 경우 최대 적재 하중이 25% 감소합니다.
기능
런너의 경우 서랍 또는 선반을 인출하는 기본적인 기능 외에도 아래와 같은 추가기능이 있습니다.
셀프 클로징 및 서랍고정
서랍을 닫을 때 일정시점에서 런너자체가 서랍을 잡아 끌어당겨 완전히 닫히게 하며 닫힌후에도 서랍이 저절로 인출되지 않도록 닫힘 상태를 유지시켜 줍니다.
셀프 클로징 및 소프트 클로징 매커니즘
기본적으로 셀프 클로징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서랍을 닫을 때 일정 시점에서 런너자체가 서랍을 잡아당겨 줍니다. 동시에 소프트 클로징 기능이 작동하여 부드럽게 서랍이 닫히도록 도와줍니다.
설치타입에 따른 구분
런너타입은 런너의 디자인과 설치 방법에 따라 결정이 됩니다.
1. 가이드 레일 : 플라스틱 가이드를 따라 서랍이 작동됩니다.
2. 철레일 : 폴리아마이드 코팅이 되어있는 롤러가 측면에 설치되어있는 레일을 따라 작동됩니다.
3. 볼레일 : 측면에 고정되며, 스틸 또는 플라스틱 볼 베어링이 케이지를 따라 작동됩니다.
4. 언더레일 : 서랍재 하부에 설치하여 레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서랍을 깔끔하게 마무리 할 수 있습니다.
최대 적재 하중
서랍재의 최대 적재 하중은 DIN 68858 국제 규격 기준으로 최대 5만회 개폐시험을 통과한 서랍재 1조의 최대 하중을 의미합니다.
특히 측면 고정형 볼레일의 경우 하부고정형으로 사용할 경우 최대 적재 하중이 25% 감소합니다.
기능
런너의 경우 서랍 또는 선반을 인출하는 기본적인 기능 외에도 아래와 같은 추가기능이 있습니다.
셀프 클로징 및 서랍고정
서랍을 닫을 때 일정시점에서 런너자체가 서랍을 잡아 끌어당겨 완전히 닫히게 하며 닫힌후에도 서랍이 저절로 인출되지 않도록 닫힘 상태를 유지시켜 줍니다.
셀프 클로징 및 소프트 클로징 매커니즘
기본적으로 셀프 클로징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서랍을 닫을 때 일정 시점에서 런너자체가 서랍을 잡아당겨 줍니다. 동시에 소프트 클로징 기능이 작동하여 부드럽게 서랍이 닫히도록 도와줍니다.
설치타입에 따른 구분
2015년 6월 18일 목요일
퍼니파트 furnipart - 덴마크의 손잡이 디자인회사
덴마크의 디자인회사다.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회사소개는 물론 디자이너소개도 있고 제품 카다로그 등 여러 정보가 있다.
그런 정보를 주는 페이지들마저도 예술적이다.
자주 보면 좋을것같은 회사, 디자인 그리고 사진들이다.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