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4월 3일 토요일

 TMD - T-460SM 미니받침대


난장이 받침대라고도 하며, 화장실 칸막이 다리 입니다.


화장실 칸막이 공사시 사용하는 제품입니다. 


위 사진처럼 설치됩니다. 높이가 너무 높은 모델보다는 T-460SM 처럼 기본 50미리를 띄우는 미니타입이 인기가 있는것 같습니다. 제조사에서 신제품으로 나왔다는것은 그만큼 수요라던가 요구사항이 반영된게 아닐까요?

간혹 화장실 칸막이 공사가 아닌.... 예를 들면 애견샵 같은데서도 사용하기도 합니다.

용도라는게 한가지만 있는경우도 있지만 적용이 가능하도록 디테일을 풀어낸다면 다양하게 사용하는것도 가능하답니다.

아래 사진은 본 제품의 규격입니다.


저는 제품을 소개하는 사람일 뿐이구요. 제품의 저작권은 당연히 제조사인 극영에 있습니다.



2015년 7월 13일 월요일

Raw meterial of Ironmongery 철물의 원재료

Alloy (합금)



1. Brass 황동
구리 + 아연
4-6황동 (아연40% + 구리60%) : 주로 건축재의 장식, 문의 손잡이 등 놋쇠장식 대부분
알파황동 (7-3황동) : 동전
단동 (red brass) : 아연 20% 이하. 황금빛, 성형가공 용이, 건축 가구 장식에 사용


2. Copper 구리
원소기호 : Cu
녹는점 1085도
비중 8.9
전성, 연성, 가공성, 강도 높고, 열 및 전기의 전도율은 은에 이어 2번째. 공기중에 방치하면 습기와 반응하여 녹청을 생성.



3. Aluminium 알루미늄
원소기호 Al
녹는점 660도
비중 2.7
전성, 연성이 풍부, 비중이 작다. 열 전기의 전도성이 크고 대기중에서 내식성이 크다.
모든 형태로 가공되어 사용이 용이한 비철금속.
아연의 3배 가격



4. Zinc 아연
원소기호 Zn
녹는점 420도
비중 7.2
아연이 주된 합금으로 다이캐스트용이 많다.
알루미늄 3.5~4.5%, 구리 0.75~1.25% 마그네슘 0.02~0.08 과 아연으로 합금되는 경우도 있다. (zamak)
청색이 도는 은백색 금속으로 상온에서는 취야가지만 100도 이상으로 가열하면 전성, 연성이 증가하여 철사나 얇은 판으로 만들수 있다. 단 깨지기 쉬움



5. Nickel 니켈
원소기호 Ni
녹는점 1455도
비중 8.9
은백색의 광택을 지닌 금속, 단조나 단접이 가능하며, 전성, 연성이 풍부.
연마가공도 가능하며 강한 자성을 가짐,
구리의 15% 정도의 전도도를 가지며 잘 산화되지 않음.


6. Zamak 자막
아연95 + 알루미늄4 + 구리1 + 그외
아연계 합금으로 낮은 온도에서 쉽게 용해되어 성형이 용잉하며 녹는점은 429도.
모든 금속의 성형에 소요되는 비용은 금속을 융용할 때 전기료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Zamak과 같은 아연계 합금이 가장 경제적이다.



7. Anodizing 양극처리
부식방지, 전기절연, 온도조절, 밀봉과 결합, 내마멸 및 내마모성, 마감장식 등의 목적으로 금속을 처리하는 방법.
전해조내의 수용액에서 전기적으로 도금하고자 하는 금속 (양극)의 표면에 피막을 만드는 것.
일반적으로 아노다이징은 15% 황산조를 사용하는 것으로 석출되는 물질의 표면에 색을 띄우기 위해 염료와 섞어 가정용구, 건축장식 등에 널리 사용된다.
모든 아오다이징은 유리같이 투명조형태이며 참고로
FSB lever 의 경우 24~26 마이크로,
HOPPE lever 의 경우 6~8 마이크로의
아노다이징 처리를 한다. (1마이크론 = 1/1000 mm)



8. Chrome 크롬
원소기호 Cr
녹는점 1890 도
비중 7.2
은백색 광택의 단단하면서도 잘 부서지는 금속으로 강자성이며, 상온에서 안정적이며,
물, 공기중에서 변하지 않는다. 내식성이 강하여 도금으로 활용도가 높다.



9. Stainless Steel 스테인레스 스틸
철의 최대약점인 내식성의 부족을 개선할 목적으로 만든 내식용 강의 총칭.
일반적으로 18-8스테인레스 스틸은 크롬18% + 니켈8% + 철 74%로 구성.
이정도의 스테인레스스틸은 염산등에는 반응하여 녹이 슨다.
하지만 통상적으로 18-10 스테인레스 스틸은 녹슬지 않음.

2015년 6월 29일 월요일

스크류 및 고정부품, 기술자료 - 헤펠레2015


스크류의 종류와 스크류 머리모양에 따른 분류.
헤펠레 2015년 카다로그에 있는 자료 자체가 워낙 정리가 잘 되어있다.
한페이지에 정리되어있어 재 편집 보다는 그냥 그대로 보는편이 좋을것 같아 그대로 공개한다.
다만 스크류의 종류와 종류별 특징표의 위치가 안맞는것 같아 위치조정만 살짝 하였음을 밝혀둔다.
물론 저작권은 헤펠레에 있으니 삭제요청이 있을시엔 이미지가 사라질 수도 있다.

필립스 타입과 포지타입이 가장 많이 쓰인다고 본다.
다만 실제 목공작업때는 티탭스크류가 정말 편했던 기억이 있다. 체결력도 그렇고 티탭 비트를 한번 구매해서 잃어버리지 않는 한 4년 정도는 쓸수 있었던 기억도 있다.
개인의 취향이나 작업상 차이는 있을수 있지만, 개인적으로 비트는 10cm 이상의 긴것을 선호한다.
덧붙여 약간의 이득은 작업해준 결과물은 티탭 비트를 가지고 있는 사람만 손을 댈 수 있기 때문에 출고된 물건을 수정하러 다시 찾아오는 손님도 간혹 있었다. 귀찮은 일이 될 수도 있지만 그렇게 인연이 더해지면 좋은일이 더 많아진다고 생각한다.

참고로 한마디 덧붙이면 전체 나사산으로도 부분 나사산의 효과를 볼 수는 있다.
가끔 실패할 수도 있는 방법이지만... 전체 나사산으로 체결할때 위 그림과 같이 부재 사이가 뜨는 경우가 종종 있다. 아니 꽤 있다. 그럴때는 나사를 살짝 풀었다가 다시 힘껏 조여주면 틈이 없이 작업할 수 있다.
단지 경험에 의한 이야기다.

2015년 6월 26일 금요일

가구바퀴 캐스터의 종류

캐스터, 다시말해 가구바퀴는 위와 같이 구분되며
위 그림 이외에 매립형 바퀴나 볼캐스터, U자형 프로파일고정형도 있고
하우징을 스틸과 같이 튼튼한 재질로 만든 고하중용 바퀴도 있다.

거실바닥이 소프트 하면 딱딱한 경질 바퀴를,
바닥이 딱딱하면 연질바퀴를 사용하면 이동감이 좋다.
거기에 롤러가 크면 클수록 이동시 부드럽다. 

또한 회전을 부드럽게하기 위해 볼베어링을 넣은 제품도 있다.

*위 사진은 헤펠레 2015년 공식 카다로그에서 발췌 하였습니다.

2015년 6월 24일 수요일

바리안타 32 시스템


1945년 2차 세계대전 이후 초토화된 유럽 전역을 복구하는 데에는 엄청난 규모의 건설과 가구 제조가 시급했습니다.
이런 배경 속에서 당시 기술로서는 다축보링기 축간의 최소거리가 32mm 였던바, 이것이 표준화 되어 RTA (Ready To Assembly: 넉다운 조립가구) 가구 대량생산 기술은 비약적으로 발전하는 계기를 맞게 됩니다. 여기에서 대부분의 유럽 가구와 하드웨어는 이 기준을 적용받게 됩니다.
이와 비슷한 시기에 PB, MDF 등의 판넬이 개발 되면서 바리안타 32 시스템을 기본으로 한 RTA 방식은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가장 보편적인 양산가구 시스템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바리안타 32 시스템의 특징
ㅇ 32mm 간격의 사전 보링
ㅇ 37mm 의 판넬 엣지면에서 보링홀 중심까지의 거리
ㅇ 3mm 또는 5mm 의 보링홀 직경
ㅇ 32mm 간격의 사전보링은 하드웨어의 정확하고 신속한 설치를 보장

RTA 방식은 생산성 향상 및 물류 비용을 최소 1/4 이하로 절감해주는 획기적인 시스템입니다.
32mm 간격의 보링으로 가구의 몸통, 도어, 선반, 서랍등의 결합이 간편하게 이루어집니다.
(오늘날에는 20mm, 28mm 등의 연속 보링도 간혹 사용됩니다)




2015년 6월 23일 화요일

서랍재 및 슬라이딩 인출식 런너 (서랍레일 개요)

런너타입

런너타입은 런너의 디자인과 설치 방법에 따라 결정이 됩니다.

1. 가이드 레일 : 플라스틱 가이드를 따라 서랍이 작동됩니다.
2. 철레일 : 폴리아마이드 코팅이 되어있는 롤러가 측면에 설치되어있는 레일을 따라 작동됩니다.
3. 볼레일 : 측면에 고정되며, 스틸 또는 플라스틱 볼 베어링이 케이지를 따라 작동됩니다.
4. 언더레일 : 서랍재 하부에 설치하여 레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서랍을 깔끔하게 마무리 할 수 있습니다.



최대 적재 하중
서랍재의 최대 적재 하중은 DIN 68858 국제 규격 기준으로 최대 5만회 개폐시험을 통과한 서랍재 1조의 최대 하중을 의미합니다.
특히 측면 고정형 볼레일의 경우 하부고정형으로 사용할 경우 최대 적재 하중이 25% 감소합니다.



기능
런너의 경우 서랍 또는 선반을 인출하는 기본적인 기능 외에도 아래와 같은 추가기능이 있습니다.

셀프 클로징 및 서랍고정
서랍을 닫을 때 일정시점에서 런너자체가 서랍을 잡아 끌어당겨 완전히 닫히게 하며 닫힌후에도 서랍이 저절로 인출되지 않도록 닫힘 상태를 유지시켜 줍니다.

셀프 클로징 및 소프트 클로징 매커니즘
기본적으로 셀프 클로징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서랍을 닫을 때 일정 시점에서 런너자체가 서랍을 잡아당겨 줍니다. 동시에 소프트 클로징 기능이 작동하여 부드럽게 서랍이 닫히도록 도와줍니다.



설치타입에 따른 구분


2015년 6월 18일 목요일

퍼니파트 furnipart - 덴마크의 손잡이 디자인회사


덴마크의 디자인회사다.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회사소개는 물론 디자이너소개도 있고 제품 카다로그 등 여러 정보가 있다. 

그런 정보를 주는 페이지들마저도 예술적이다. 
자주 보면 좋을것같은 회사, 디자인 그리고 사진들이다.